레이드 설정된 시스템에는 /dev/sdb1 같은 파티션이 없다.
대신 /dev/mapper/ 에 등록 되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레이드 확인명령
dmraid -r
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처리 방식은 기존과 같다.
fdisk /dev/mapper/ddf1_---
파티션 생성하면 p1이 붙은 새파일이 생긴다.
mkfs.ext4 /dev/mapper/ddf1_---p1
포맷후 마운트 하면됨.
mount /dev/mapper/ddf1_---p1 /tmp
============================
fstab에 uuid 로 등록하기
uuid 확인법
[root@webbackup superoz]# blkid /dev/mapper/ddf1---
/dev/mapper/ddf1_---: UUID="12314412-12312-212321-2142-24324e43" TYPE="ext4"
위의 UUID로 fstab에 등록
UUID=12314412-12312-212321-2142-24324e43 /tmp ext4 defaults 1 2
참고: http://mbroz.fedorapeople.org/talks/DeviceMapperBasics/dm.pdf
2013년 5월 22일 수요일
2013년 5월 9일 목요일
자꾸 헷갈리는 DNS 마스터,슬레이브 개념 정리~
마스터와 슬레이브로 2개 등록시 RTT에 의해 라운드로빈으로 분산된다.
문제는 마스터 서버가 다운시에는 SOA 레코더의 expire 시간동안만 slave 가 동작한다는 사실~
그래서 결국에는 문제가 생긴다고 한다.
출처:http://cafe.naver.com/dnspro/22279
문제는 마스터 서버가 다운시에는 SOA 레코더의 expire 시간동안만 slave 가 동작한다는 사실~
그래서 결국에는 문제가 생긴다고 한다.
출처:http://cafe.naver.com/dnspro/22279
2013년 3월 19일 화요일
자바스크립트 중복 제거 함수.
var a=[];
while(a.length <3) {
var n = Math.round(Math.random() * 20);
if (a.indexOf(n)==-1) a.push(n);
}
출처:http://stackoverflow.com/a/5740725
while(a.length <3) {
var n = Math.round(Math.random() * 20);
if (a.indexOf(n)==-1) a.push(n);
}
출처:http://stackoverflow.com/a/5740725
2013년 2월 23일 토요일
geopoint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해결책
1. 이클립스 프로젝트에서 오른쪽 클릭.
2. Properties -> Android 선택
3. Build Target 에서 Google API 를 선택한다.
번외로 dalvik.system.vmruntime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오류 발생시
플래폼 버젼을 내려준다. 2.2로 하니까 해결 됬음.
2. Properties -> Android 선택
3. Build Target 에서 Google API 를 선택한다.
번외로 dalvik.system.vmruntime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오류 발생시
플래폼 버젼을 내려준다. 2.2로 하니까 해결 됬음.
2013년 2월 4일 월요일
윈도우 톰캣 ROOT 네트워크 드라이브
윈도우에서 톰캣을 사용중에 있다.
서버 a 와 서버 b 가 있다.
서버 a에는 톰캣이 있고, 컨텐츠가 있다.
서버 b에는 톰캣이 있고, 컨텐츠가 없다.
서버b에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서 서버 a의 컨텐츠를 가져 다 써야 한다.
서버a의 ROOT 위치는 webapps/ROOT, ROOT 드라이브를 공유했다.
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잡자.
server.xml 내용
이게 중요한데,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NETBIOS 로 지정 해 줘야 한다.
출처
ps. 진짜 해결 하고 나니 별거 아닌데, 장장 3일이나 걸쳐서 처리 했다.
서버 a 와 서버 b 가 있다.
서버 a에는 톰캣이 있고, 컨텐츠가 있다.
서버 b에는 톰캣이 있고, 컨텐츠가 없다.
서버b에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서 서버 a의 컨텐츠를 가져 다 써야 한다.
서버a의 ROOT 위치는 webapps/ROOT, ROOT 드라이브를 공유했다.
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잡자.
net use X: \\tbittpcont1\root password /user:userid
server.xml 내용
<Host name="localhost" appBase=""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> <Context path="/" docBase="\\netbios\root" reloadable="true"/> <Valve className="org.apache.catalina.valves.AccessLogValve" directory="logs" prefix="localhost_access_log." suffix=".txt" pattern="%h %l %u %t "%r" %s %b" resolveHosts="false"/> </Host>
이게 중요한데,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NETBIOS 로 지정 해 줘야 한다.
출처
ps. 진짜 해결 하고 나니 별거 아닌데, 장장 3일이나 걸쳐서 처리 했다.
2013년 2월 2일 토요일
SEVERE: Failed to initialize end point associated with ProtocolHandler ["http-apr-443"]
SEVERE: Failed to initialize end point associated with ProtocolHandler ["http-apr-443"]윈도우 톰캣 이관시 ssl keyfile 문제 발생.기존 서버윈도우 2008톰캣 버젼 : 7.0.14자바 버젼 : 1.6.0_25이관 서버윈도우 2008 R2 64bit톰캣 버젼 : 7.0.35자바 버젼 : 1.7.0_11처음에는 ssl key 파일이 64비트로 만들어 져서 그런건가 했더니, 아닌 것 같다.다음과 같이 server.xml 을 변경하여 해결.<Connector port="8443" protocol="org.apache.coyote.http11.Http11Protocol"SSLEnabled="true" maxThreads="150" scheme="https" secure="true" keystoreFile="C:\keystore\.keystore"keystorePass="changeit"clientAuth="false" sslProtocol="TLS" />기존의 protocol "HTTP/1.1" 를 "org.apache.coyote.http11.Http11Protocol" 로 바꿔 줌.출처
2013년 2월 1일 금요일
asp.net 일정기간 지난 디렉토리 삭제.
CreationTime 이란 값으로 가져온 걸 뿌려 봤더니, 2013-01-31 오후 3:11:42 << 이런 형식으로 나온다.
이걸 어떻게 비교 하나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이 비교 하더라.
출처:http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2222348/how-to-delete-files-older-than-3-months-old-in-a-directory-using-net
http://msdn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ystem.io.directoryinfo.aspx
//string dirName = "c:\\Temp"; string dirName = "c:\\tmp"; // C: 루트 디렉토리 정보를 가져옴 DirectoryInfo dInfo = new DirectoryInfo(dirName); // 하위 FileInfo(파일정보) 배열을 받아옴 FileInfo[] fInfoSub = dInfo.GetFiles(); // 하위 DirectoryInfo(디렉토리정보) 배열을 받아옴 DirectoryInfo[] dInfoSub = dInfo.GetDirectories(); Response.Write(dInfo.FullName); Response.Write("<br/>"); Response.Write(dInfo.CreationTime); Response.Write("<br/>"); //if (dInfo.CreationTime < DateTime.Now.AddMonths(-3)) if (dInfo.CreationTime < DateTime.Now.AddMilliseconds(-1)) { Response.Write("3개월이 지난 디렉토리입니다."); dInfo.Delete(true); /true 값을 주면 하위 디렉토리,파일까지 삭제. } else { Response.Write("3개월이 지나지 않은 디렉토리입니다."); }
//2개월 이상 디렉토리 삭제 DirectoryInfo dirTemp = new DirectoryInfo(realORtestDir); foreach(DirectoryInfo dirs in dirTemp.GetDirectories()) { if (dirs.CreationTime < DateTime.Now.AddMonths(-2)) { //Response.Write("2개월이 지난 디렉토리입니다."); //Response.Write(dirs.FullName); dirs.Delete(true); } }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